728x90
반응형

전편에 이어 오늘은 30만원대 스피닝릴 시마노 vs 다이와 편으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양사의 가격대, 베어링 수, 권상장(1핸들시 라인 회수 길이), 기어비 형태로 비교하여

시마노사의 밴포드, 다이와사의 발리스틱으로 모델 선정 하였습니다.

다이와사의 발리스틱의 경우 한국 다이와정공 홈페이지에는 모델 사양이 올라와 있지 않네요.

직수입품의 사양을 근거로 사양 비교 정리 했으니 참조 부탁 드립니다.

 

시마노사의 밴포드는 퀵리스폰스의 최고 모델인 뱅퀴쉬의 DNA를 물려 받은 가성비 갑의 모델이죠.

가볍고 응답속도 빠르고...

 

시마노의 경우 3가지 계열로 모델 구분이 됩니다.

1. 코어 솔리드 계열

  : 풀메탈 보디를 지향(전모델이 풀메탈은 아닙니다)하고 최초 릴링시에는 무거운 느낌이지만 회전 관성으로

   연속 릴링 시에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릴 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농어, 방어, 부시리 캐스팅 게임에 적합하여 연속적인 릴링 낚시에 주로 사용 됩니다. 

 

2. 퀵리스폰스 계열

최초 릴링시에는 가벼운 느낌이지만 회전 관성이 적은 느낌을 주는 릴 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STOP & GO 또는 미세한 컨트롤을 중요 시 하는 낚시에 주로 사용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에깅 낚시에 많이 사용 됩니다.)

필자의 경우 서프루어를 주요 장르로 하기 때문에 미세 컨트롤을 중요시 하여 퀵 리스폰스 릴을 선호 합니다만,

이는 극히 개인적인 취향이며, 릴의 등급에 따라 차이점을 현저하게 느껴지나 저가용 릴로는 일반적으로 구분하기는 

힘듭니다.

 

3.SW 계열

동일한 등급과 비교하여 바다 낚시 전용으로 강한 바디(BODY)와 염분 침투를 최소화 한 구조와 재질, 강력한 방수 기능을

추가한 전용 모델로 동일 등급의 모델보다 다소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로 쇼어지깅, 선상 지깅, 파핑(Popping) 등

등푸른 계열(青物)의 빅게임(Big Game)에서 사용되는 전용 릴 입니다.

※빅게임(Big Game) :부시리, 방어, 참치등을 대상어로 하는 쇼어지깅, 선상지깅, 선상 파핑을 일컬음.

 

상세한 내용 확인이 필요하신 분들은 하기 링크로 확인 하세요

2023.02.11 - [서프루어/Reel(릴)] - 시마노 릴 등급 심화편

 

시마노 릴 등급 심화편

안녕하세요. 빨리 추위가 물러가고 출조할 수 있는 시기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시마노 릴 등급의 심화편으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일전 시마노릴 등급에 대해서 포스팅 시 몇가지 누락

toshore.tistory.com

 

다이와의 스피닝릴은 모노코크(MONOCOQUE) 보디 계열과 자이온(ZAION)보디 계열로 구분이 되는 듯 하네요.

맥락은 시마노사와 유사한 듯 합니다.

하지만 다이와는 보디, 로터, 기어는 공용화 하고 보디 재질과 설계로 구분을 하는 듯 한 라인업 입니다.

또한, 다이와만의 기술적인 강점은 부품수를 줄이는 기술 입니다.

 

그럼 워킹루어에서 사용되는 3000번부터 서프루어의 주력인 4000번, 5000번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가격은 최저가가 아닌 네이버쇼핑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다소 차이가 있는점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3000번 스피닝릴 비교

 

ㅣ 20 밴포드 vs 발리스틱 LT

저기어비 모델 사양
고기어비 사양

 

3000번 고기어비 사양

★4000번 스피닝릴 비교

ㅣ 20 밴포드 vs 발리스틱 LT 

4000번 저기어비 사양
4000번 고기어비 사양

★5000번 스피닝릴

5000번 고기어비릴 사양

일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시마노사의 4000번, 5000번은 사양 차이가 없습니다.

드렉력, 스풀치수, 스풀경, 권상장, 권사량 등... 거의 동일하여 중량과 핸들 손잡이만 상이 합니다.

필자의 경우 4000번 보다는 5000번을 구입해서 핸들 손잡이 변경 없이순정 그대로를 사용합니다.

 

다이와는 이런 사양 구분을 하지 않고 4000번으로 통합해서 사용하는 듯 합니다.

드렉력과 권상장만으로도 충분한 사양을 가지고 있네요.

 

ㅣ 20 VANFORD

밴포드 C3000HG
밴포드 C5000XG
밴포드이미지
밴포드 적용 기술

아무래도 상기 기술 로고가 많을수록 고가형 릴이겠죠...

상세한 기술적 특성을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꼐서는 하기 링크 참조를 부탁 드립니다.

https://toshore.tistory.com/entry/%EC%8B%9C%EB%A7%88%EB%85%B8-%EB%A6%B4Reel-Technology

 

내 릴에 적용된 시마노 릴(Reel) Technology

안녕하세요? 시마노릴을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 검색하면 하기와 같은 기술력 같은데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를 법한 마크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시마노 릴만의 Technology Mark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

toshore.tistory.com

최상위 모델인 스텔라 뱅퀴시와 동일 기술 적용

★밴포드 라인업

 DAWA BALLISTIC

발리스틱 이미지
발리스틱 이미지

 

전편의 포스팅 주제였던 19스트라딕 vs 21칼디아는 가격, 성능면에서 칼디아 압승이라고 생각했는데,

30만원대인 밴포드 vs 발리스틱의 경우는 밴포드 압승이 아닐까 합니다.

같은 등급이라도 출시형식에 따라 사양이 시마노가 우수한 것도 있고, 다이와가 우수한 것도 있습니다.

 

거의 2~3년에 한번씩 모델 리뉴얼을 하면서 다이와, 시마노 모두 경쟁사의 성능을 압도하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때로 특정 모델의 경우 구형식의 모델이 인기도가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이상, 농어바라기 HIRASUZUKI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