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3년형 다이와, 시마노의 최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23에어리티와 23뱅퀴쉬에 대해서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교 형번은 서프루어게임에서 사용하는 4000번과 5000번으로 국한하여 비교 평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던바와 같이 공교롭게도 올해 3월 양사의 최상위급 모델이 동시에 출격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이와의 에어리티는 21년 루비아스 에어리티에서 2년만에 독립 브랜드로 출시 하게 되었으며, 시마노의 뱅퀴쉬는 19년형 출시 이래 4년만에 새로운 기술적용으로 출시 합니다.

 

아직 한국다이와 공홈에는 23에어리티에 대한 소개는 없는 상황이며, 윤성F&B에는 간략한 Spec.만 소개가 된 상태이네요.

그래서 일본 다이와 공식 홈페이지, 일본 시마노 공식 홈페이지 올라온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적용된 기술과 Spec.에 대하여 비교 해도록 하겠습니다.

 

두 모델 모두 저관성 실현으로 감도 향상과 파워풀한 릴링 성능, 강력한 보디 설계 및 경량화를 컨셉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23AIRITY VS 23 VANGQUISH


1. BODY CONCEPT

1.1. AIRTY(23)

출처 : 일본 다이와 공홈
출처 : 일본 다이와 공홈

1) MONOCOQUE BODY - FULL METAL BODY

2) TOUGH DIGIGEAR - 고강도 피니언 드라이브 기어 적용(LT3000, LT4000,LT5000)

3) MAGSEALD - 철벽의 방수와 내구력

 

1) MONOCOQUE BODY

그 자체가 거대한 나사의 역할도 담당하는 엔진 플레이트로 커버를 하고 있어, 큰 부하를 받아도 뒤틀리거나, 휘어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나사 구멍을 없애서, 종래 구조보다 바디 내부의 스페이스가 비약적으로 넓어져, 보다 강력한, 대경 사이즈의 드라이브 기어가 탑재 가능하다.

AIRITY의 모노코크 보디에서는, 고강성의 금속 「마그네슘 합금(Mg)」을 채용하고 있다. 

 

2) TOUGH DIGIGEAR

릴 중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인 드라이브 기어에는 삼위일체의 엘리먼트(설계 사상·가공 기술·기어 소재)가 필수적이다.

23 AIRITY에 탑재되는 것은 슈퍼 두랄루민제 MC (머신 컷) 터프 디지 기어. 냉간 단조로 고강도로 마무리한 소재에 한층 더 한 번, 디지털 해석에 의해 도출된 이상적인 치면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고정밀 머신 컷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 드라이브 기어에 특수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고부하가 걸리는 것에 기인하는 기어에의 데미지를 저감. 

또한 대형 사이즈의 PC LT3000, LT4000, LT5000D-C의 XH 기어 모델에는, 솔티가 등으로 실적이 있는 고강도 피니언을 새롭게 채용해  만전을 기했다.

 

3)MAGSEALD

방수의 요점이 되는 곳에, 자성 유체를 이용한 기구를 세트해, 물과 기름, 침투하는 물이나 모래 먼지를,

강력하게 막아주는 뒤집는 것이 매그실드.
철벽의 방수·내구력은 다이와만이 가진 유일무이의 기술이다.

 

1.2.VANGQUISH(23)

23뱅퀴쉬는 19 벵퀴쉬와 동일한 보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신모델에는 보디보다는 성능 개선과 기어, 내구성에 포커스를 두어 설계 및 제조한 듯 한 느낌 입니다.

 


2. UNIT별 CONCEPT

2.1. AIRITY(23)

출처 : 일본 다이와 공홈

AIRDIVE DESIGN

감고, 멈추고, 뜻하는 대로...

에어 드라이브 디자인 와인딩이 가볍고, 하이 리스폰스적 회전을 탄생시킨 테크놀러지.

다이와 스피닝릴의 새로운 미래가 새롭게 시작된다.

출처: 일본 다이와 공홈

중량 밸런스 향상

프런트 유닛을 경량화 함으로써, 로드 장착시에 프론트가 처치지 않도록 가중치를 경감한 중량 밸런스를 실현. 

라인 방출과 릴링감도 향상으로 로드와 릴의 일체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23AIRITY FRONT UNIT TECHNOLOGY

1)AIRDRIVE ROTER

   저관성로터로 작은 힘으로 릴링 스타트와 순간적인 멈춤 가능

 

2)AIRDRIVE BAIL

   베일 중량 감소와 라인 스무스한 라인 방출 및 라인 트러블 방지

 

3)AIRDRIVE SPOOL

  릴의 밸런스, 회전 성능 향상

 

4)AIRDRIVE SHAFT

  드렉음 향상 및 부드럽고 정숙한 회전 감도 실현

 

5)ATD TYPE-L

  일정한 드렉력 유지로 후킹~파이팅까지 앵글러의 순발력 대응 향상

 

6)TWIST BUSTERⅢ

  라인 트러블 감소 개선

 

7)LONG CAST-ABS

  라인과 스풀엣지의 마찰력을 경감 시켜 비거리 5% UP

2023.03.13 - [낚시정보/New Reel] - 23년 출시(新発売) 다이와(DAWA) 에어리티(AIRITY)

 

 

 

2.2. VANGQUISH(23)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23VANGQUISH TECHNOLOGY

1) MGL ROTER

매그넘 라이트 로터 적용으로 조작성과 감도 향상, 경량화 실현

로터의 라인 텐션 변화를 감지 및 뛰어난 릴링 감도

28% 저관성으로 적은 힘으로 릴링 스타트하여 순간적인 멈춤까지 앵글러가 원하는 릴링 컨트롤력 향상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2) INFINITY ROOF

라인이 면밀하게 스풀에 감겨  라인 방출 시 저항을 대폭 감소

캐스팅 시 스무스한 라인 방출감을 실현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3)스풀의 이동속도 저하

  스풀의 이동속도 저하와 오실레이터에 의한 진동(덜그럭거림)? 감소로 불필요한 진동을 감소시켜 앵글러와 릴간의

  감도를 극적으로 향상.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4) INFINITY CROSS

 22 스텔라에도 적용한 인피니티크로스 적용으로 압도적인 기어 내구성 확보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5)INFINITYDRIVE

항상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파워풀한 릴링.

적은 힘으로도 릴링이 가능하도록 실현한 종래의 X-SHIP 구조가 더욱 강력한 구조로 진화. 

지금까지 피니언 기어로 지지하고 있던 메인 샤프트를 특수 저마찰 부시로 지지하는 것으로 슬라이딩 저항이 대폭 경감. 

또한 메인 샤프트 자체에 특수 표면 처리와 특수 가공을 실시하여 회전 토크도 대폭 감소. 

고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도 적극적으로 감을 수 있는 릴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6)ANTI TWIST FIN

라인 롤러부에 근접하도록 탄성체의 핀을 설치. 

라인의 슬랙을 억제하는 것으로 스풀 하부에 라인이 처지는 현상이나 라인이 딸려 나가는 채로 스풀에 감겨지는 현상을 경감합니다.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7)DURA CROSS

신소재로 新드랙 와셔. 

기존의 드랙 와셔를 구성하는 섬유 방향에 크로스하는 형태로 새로운 섬유를 짠 재료 강화.

 부드러운 드랙 성능은 유지하면서, 내마모성을 10배 이상※에 높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출처 : 일본 시마노 공홈


728x90

3. 형번별 Spec. 비교 23에어리티 vs 23뱅퀴쉬

 

1) 4000번 비교

제조사 다이와(DAWA) 시마노(SHIMANO) 비고(REMARK)
브랜드 에어리티(AIRITY) VANGQUISH -
형번 LT4000-XH 4000XG -
출시년도 '23년 '23년 -
기어비 6.2 6.2 -
드렉력(kg) ~10.0 6.0~10.0 -
자중(g) 200 205 AIRITY★
스플경(mm) 51 52/19 -
권상장(cm) 99 101 VANGQUISH★
권사량(PE호수/m) 1.5-200 1.5-320
-
핸들길이(cm) 60.0 55.0 -
베어링수(BB/Roller) 11/1 11/1 -
본체가격(JPY) 66,000 66,500 -

 

2)5000번 비교

제조사 다이와(DAWA) 시마노(SHIMANO) 비고(REMARK)
브랜드 에어리티(AIRITY) 뱅퀴쉬(VANGQUISH) -
형번 LT5000D-CXH C5000XG -
출시년도 '23년 '23년 -
기어비 6.2 6.2 -
드렉력(kg) ~10.0 6.0~11.0 -
자중(g) 205 220 AIRITY★
스풀경(mm) 54.0 52/19 -
권상장(cm) 105 101 AIRITY★
권사량(PE호수/m) 2.5-300 2.0-300 -
핸들길이(cm) 60 57 -
베어링수(BB/Roller) 11/1 11/1 -
본체가격(JPY) 68,000 68,500 -

서프루어 게임에서 주요 사용하는 형번으로 Spec.비교하여 보았습니다.

Spec.상으로는 양사의 대표 상위등급 모델인 만큼 어느쪽이 우수하다고 할 수는 없겠습니다.

 

다만, 상기 신기술 적용과 보디재질, 기어재질 등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아무래도 다이와의 23 AIRITY가 보다 많은 개선을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물론 뱅퀴쉬의 경우 시마노 범용 스피닝릴 라인업중 2nd에 위치하고 있고 Quick Response계열인 만큼 보디를 MGL시리즈로 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릴은 앵글러분들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제조사, 브랜드가 상이하며, 릴은 시장의 평가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필드에서 사용해봐야 각 제조사에서 홍보하는 성능이 재대로 발휘가 되는지 앵글러 본인이 확인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같은 제품이라도 앵글러들만의 개성적인 취향에 따라 평가가 달라집니다.

 

본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서 구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이상, 농어바라기 HIRASUZUKI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