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원투낚시 입문자분들을 위한 장비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고수분들은 패스 부탁 드립니다.

 

원투낚시는 말그대로 멀리 던지는 낚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100m이상 롱캐스팅하여 대상어를 잡아내는 낚시로 대상 어종으로는 락피쉬를 포함하여

고급어종인 돔류를 전문적으로 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대상 어종은 우럭, 놀래미, 붕장어(아나고), 쏨뱅이, 성대, 도다리, 가자미, 광어, 감성돔, 참돔 등 입니다.

하지만 감성돔, 참돔 등을 낚아 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경지에 올라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원투낚시는 기본적으로 장비가 많이 필요 합니다.

그래서 이동 및 채비 편성에 시간이 다소 소요 되며, 처음 포인트를 잘 선택해야 이동 및 채비 편성에 불필요한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소개 드리는 장비는 필자인 농어바라기 HIRASUZUKI가 다년간 원투 낚시 출조했던 경험치를

바탕으로 필수 장비와 추가적으로 편의 장비로 나누어 소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필자의 경우는 루어 시즌이 오프되면 원투낚시로 출조를 합니다.

속초 출조 사진

 

안면도 출조 사진

●농어바라기 HIRASUZUKI가 생각하는 원투 낚시의 장점

・루어 낚시보다 체력 소모가 적다.

・채비 편성을 마치면 여유롭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앉아서 커피도 마시고 라면도 먹을 수 있다.

・꽝치는 날은 거의 없다.

・마음만 먹으면 매운탕 거리는 자급자족 가능하다.

・대상 어종이 루어낚시보다 엄청 많다.

・계절에 상관 없이 조과를 챙길 수 있다.

 

●농어바라기 HIRASUZKI가 생각하는 원투 낚시의 단점

・짐이 많다.

・짐이 많아서 포인트 선정 잘 못 하면 이사 다니느라 힘들다.

・서해의 경우 조수간만의 차로 만조/간조 때마다 전진후진 해야 한다.

・생각보다 조과의 사이즈가 작다.(※이건 실력부족 탓 입니다)

・원투낚시 반나절 이상 하면 핸들에서도 지렁이 냄새가 난다.

・로드와 릴 형번에 비해서 조과 사이즈가...ㅠㅠ

 

보통 초고수, 고수, 중수 분들을 제외하고 입문하기 쉬운 낚시 장르가 원투 낚시 입니다.

생활낚시로 장비 구입 비용 적게 들고 조과도 어느 정도 보장 되는게 원투 낚시죠.

 

필자의 경우 성격상 원투낚시 보다는 루어 낚시, 그 중에 서프루어 게임이 저한테 맞는것 같습니다.

 

그럼 원투낚시 입문에 필요한 장비, 채비, 소품등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로드와 릴

1. 로드(낚시대)

원투로드는 어떠한 필드 환경이 주무대인가가 중요 합니다.

그에 따라, 갯바위용, 서프용으로 구분이 됩니다만, 입문자 분들의 경우는 올라운드로 사용할 수 있는 로드를 선택하시면 되고, 그 올라운드용이 서프용이라 생각 합니다.

일반적으로 원투 낚시의 경우 로드를 2대 편성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물론 2대 이상 편성하기도 하지만 미끼 갈아 끼우다 앉아 있을 시간도 없는 경우가 많아, 필자의 경우 2개만 편성하는

편입니다.

 

로드표기법

예)30호-425・W

 ①30호라는 것은 로드의 추부하 허용치 입니다.

 ②425호는 전장(낚시대 길이)를 의미합니다. 425는 4.25m 입니다.

 ③뒤에 표기된 알파벳은 제조사별로 의마가 상이하니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로드 스펙표를 확인하시고 반드시 릴시트 위치표기를 확인 하세요.

릴시트 위치가 80cm이상인 것을 선택하세요.

이는 그립부터 릴시트까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80cm이상이 되어야 캐스팅하기 편합니다. 

 

1) 전장(全長): 낚시대의 길이

서프를 기준으로 하면 일단 파도가 일어나는 부분을 넘겨야 조과에 도움이 됩니다.

루어낚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파도가 일어나는 지역은 바닥의 지형 변화가 있는 곳이며,

파도가 일어나는 부분의 뒷편이 브레이크라인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에 보통 425대나 450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보다 전장이 긴 510, 530대도 사용 합니다.

전장이 길면 캐스팅 비거리가 늘어나지만 로드의 핸들링 또한 난이도가 높아 집니다.

입문자분들의 경우는 425대, 450대를 추천 드립니다.

 

사진출처 : 다이와 프라임서프 T 이미지

【추천사양】

1. 전장 : 425~450

2. 추부하(호) : 27호~33호

3. 릴시트 위치 : 80cm이상

 

● 다이와 원투 로드 등급

2023.03.07 - [원투낚시/ROD(로드)] - 다이와 원투 로드 등급

 

다이와 원투 로드 등급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이와 서프 원투 로드 등급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일본 다이와 공홈의 등급과 한국다이와 정공의 공홈을 기준으로 선정 하였습니다. 모델별로 한국 단독 출시 모델과

toshore.tistory.com

2. 릴(Reel)

원투용릴은 루어용 보다 Spec. 확인이 복잡합니다.

일단, 사용할 합사의 호수를 알아야 하고 이에 따라 릴의 종류를 구분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원투용 스피닝릴의 구분법은 일전 시마노 원투용릴 등급표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2023.03.08 - [원투낚시/REEL(릴)] - 시마노 원투릴 등급

 

시마노 원투릴 등급

오늘은 시마노사 원투릴 등급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원투릴 등급에 대한 정보가 없어 일본 시마노 공식홈페이지를 참조로 작성하였습니다. 시마노사의 원투릴의 경우 표준, 극태, 극

toshore.tistory.com

 

올라운드 원투용으로 사용하실거면 표준사양(시마노기준)으로 하시면 되고 합사는 4.0호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합사 권사량이 300m이상 되는 릴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형번은 일반적으로 4500번 이상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필수 장비

 

1. 서프 스탠드 삼각 로드 거치대

  : 갯바위, 제방, 서프 등에서 로드 받침대는 필수 장비 입니다.

다이와750서프거치대

가장 기본이 되는 로드 거치대 입니다.

로드 거치대는 만원대부터 10만원 후반대가지 종류도 다양합니다.

최근에는 750사이즈보다 더 큰 사이즈를 사용하는 추세기도 합니다.

사파 원투 거치대

2. 서프 샌드폴

샌드폴은 해변에서 원투 낚시를 즐길 때 사용하는 장비 입니다.

제방이나, 갯바위에서는 해수면보다 앵글러의 위차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삼각 거치대로 입질 여부를 판단하기 쉬우나, 서프게임의 경우 해수면과 앵글러의 로드 거치 위치가 동일하여 샌드폴로 로드는 직각으로 세우는 것이 입질 파악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합사의 슬랙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레드펄스 샌드폴
다이와 샌드폴
샌드폴 설치 이미지

서프에서 삼각 거치대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만, 파도가 높을 경우에는 샌드폴을 사용하시는 것이 훨씬 

유리 합니다.

사용해 보시면 압니다.

 

3. 테클박스

여러가지 소품과 채비들을 보관하는 테클박스는 필수품입니다.

테클박스에 로드 거치대를 결합하여 사용하시면 편리 합니다.

테클박스는 다이와 , 메이호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브랜드 제품이죠.

메이호 테클박스
다이와 테클박스

사이즈가 여러 종류이니, 본인에 맞는 사이즈로 선택하세요.

너무 작으면 수납 활용이 힘들고, 너무 크면 무거워서 사용하기 힘듭니다.

의자 대용으로도 사용하니 가능한 브랜드 제품으로 구매하시어 중복 투자 않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4. 로드케이스

원투 로드를 보관 및 수납하여 이동시에 필요한 장비 입니다.

다이와 원투 로드 케이스

로드 케이스는 여러 브랜드와 종류가 많으니, 본인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4. 릴케이스

릴케이스

보통 릴은 고급형 모델이 아닌 경우 케이스를 별도로 구입해야 합니다.

릴은 민감한 장비이므로 충격에 영향이 없도록 소중히 보관해 주세요.

 

 

5. 핑거글러브

다이와 핑거 글러브
JW핑거 글러브

원투 낚시는 기본적으로 20호~30호까지 싱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캐스팅 시 손가락 보호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소품입니다.

글러브 형태나 핑거코터 형태 제품이 있으니 취향에 맞게 구입하시어 사용 하시면 됩니다.

6. 쓰레기 봉투

쓰레기봉투

이건 필수 장비이며, 소품입니다.

캠퍼들의 철칙이 들어 갈 때와 나올 때 완벽히 같은 상태로 철수 하기 입니다.

우리 낚시인들도 반드시 출조 포인트에서 철수 할때 깨끗한 환경으로 철수 할 수 있도록 쓰레기 처리

철저히 하도록 합시다!!! 

 

7. 바칸

바칸 또는 바캉이라 부르며, 일명 살림통으로도 불립니다.

조과물(포획한 대상어)을 보관(측면에 기포기 체결)하거나 여러가지 소품들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 합니다.

메이커별로 사이즈가 상이 합니다.

 

다이와 바칸

 

8. 두레박

두레박은 바칸에 바닷물을 채울 때 사용하는 소품입니다만, 일반적으로 원투에서 포획한 대상어를 물에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 합니다.

접이식으로 수납도 간편하며 꼭 필수 장비는 아니지만 없으면 불편한 장비에 속합니다.

아부가르시아 두레박

 


★편의장비

상기 기본적인 장비외에 수납, 이동에 편의성을 고려한 장비를 소개 드리겠습니다.

 

1. 캠핑웨건

 

콜맨 캠핑웨건

원투낚시를 장르의 특성상 장비가 많아 이동이 불편 합니다.

캠핑 이동장비인 웨건을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수납하여 이동이 가능 합니다.

 

2. 캠핑의자

콜맨 캠핑의자

원투낚시는 이동, 채비 편성, 미끼달기, 캐스팅 외에는 기다림의 낚시 장르 입니다.

편하게 앉아서 초릿대를 보는 여유로움에 편안한 의자는 필수겠죠.

일반적으로 사용하시는 캠핑의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3. 로드스텐드

다이와 로드스텐드

테클박스에 체결하여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메이호 로드 스텐드의 경우 메이호 테클박스 및 다이와 테클박스와도 호환이 여부 확인하시어 사용하시면 

편리 합니다.

 

4. 로드 거치대 무게추

스나이퍼 무게추
사파 무게추

삼각대 로드 거치에 중앙에 체결하는 무게추 입니다.

바람이 많이 부는 필드 환경에서 필요하며, 보통 비닐봉투에 물병을 담아 사용하셔도 무방 합니다.

 


728x90

 

★채비 및 소품

1.채비

스네이크 천칭 채비

요즘 이 채비가 대세죠...

만능 전천후 채비라 할 수 있습니다.

몇번 사용해보시고 경심줄 등을 구입하셔서 직접 만들어 사용해도 됩니다.

필자의 경우 경심줄 구입하여 DIY로 제작하여 사용 합니다.

 

2단 천칭 채비

일반적으로 입문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채비입니다만, 비거리나 밑걸림에 취약 합니다.

 

※이런 묶음 채비는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묶음추 예시 사진

비거리도 안나오고, 강도도 약하고, 싱커가 납으로 되어 있어 환경에도 안좋습니다.

바다 환경을 위해서라도 비사용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필드에 가면 쓰레기로 가장 많이 목격되는 폐낚시채비 입니다.

반드시 쓰레기 처리 부탁 드립니다.

 

2. 묶음바늘

금호조침 묶음 바늘
세이코 묶음바늘

원투용 바늘만 구입후 직접 매듭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시간 소모가 많아 필자의 경우는 

묶음 바늘을 주로 사용 합니다.

유튜브에 찾아 보시면 묶음바늘 빨리 매듭하기 등의 정보가 많습니다.

참고하시면 불필요한 소모 시간 없이 채비 편성을 할 수 있습니다.

 

  

3. 싱커

스나이퍼 고리형 싱커
서클싱커

원투용 싱커는 고리형과 구멍형으로 구분이 됩니다.

고리형은 고정식 채비나, 스냅등을 이용한 반유동식에 사용이 되며, 구멍형은 반유동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스나이퍼 싱커는 비거리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서클형 싱커는 조류가 강한 서프지형에서 사용하시면 

유리 합니다.

 

4. 지렁이 꿰미

지렁이 꿰미

일반적으로 원투낚시에서 사용하는 생미끼는 청갯지렁이(청개비), 또는 혼무시(참갯지렁이), 개불(감성동용)을

사용 합니다.

입꿰기외에 목줄까지 미끼를 끼울 경우 반드시 필요한 소품 입니다.

손잡이가 나무로 되어 있는 꿰미도 많으나, 나중에 지렁이액이 묻어 나와 지속적으로 사용하실 거면 스틸 재질로

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5. 바늘빼기

포셉가위

필자의 경우 바늘 제거 시에 포셉가위(16~18cm)를 사용합니다.

원투 낚시 바늘 사이즈가 작아 대상어가 깊게 삼키는 경우도 있어 반드시 필요한 소품 입니다.

 

하기 사진의 바늘빼기 소품도 있으나, 별로 사용해 본 기억은 없네요.

바늘 리무버

6. 플라이어

다이와 플라이어

낚시할때의 기본적인 소품이죠.

바늘빼기부터 여러모로 필수 적인 소품입니다.

 

7. 합사가위

합사가위

이건 뭐 설명 드릴 필요 없이 필수 소품 입니다.

 

8. 입질감지기

입질 감지기

나이트 게임에서 사용하는 입질 감지기이며, 초릿대에 설치 후 입질이 감지 되면 녹색에서 적색으로 깜빡 거립니다.

입질 감지기는 사진과 반대로 체결하시는 것이 입질 감지 효과가 좋습니다.

캐스팅시에도 문제없이 체결되어 있으므로 걱정하지 마시고 풀 캐스팅 하세요.

사용 후에는 건전지를 반대 방향으로 삽입하여 건전지 소모를 줄이는 것도 하나의 TIP입니다.

 

삼각 거치대 임질 감지기

삼각 거치대를 사용할 때 거치대 끝에 한개씩 꽂아서 사용하면 편리하긴 합니다만, 입질 감도는 별로 입니다.

필자의 경우 DIY로 제작하여 사용하기는 합니다만...

기대 효과는 그닥...이었습니다.

 

어신용 방울

이거 별로입니다.

캐스팅시에는 반드시 분리해야 합니다.

분리 하지 않고 캐스팅하면 바다로 날아 갑니다.

 

어신 감지기

이것도 별로 입니다.

파도가 일 때마다 삑~~삑~~거립니다.

최고의 어신 감지기는 앵글러의 시력과 감입니다.

 

9. 립그립

립그립

대상어를 랜딩 후 바늘빼기 등과 물고기 를 잡을 때 필요한 소품 입니다.

 

 

 

 

10.물고기 잡는 장갑

물고기 장갑

물고기를 잡고 바늘 뺄때 사용하시면 미끄럽지 않게 물로기를 파지 할 수 있습니다.

 

11. 낚시용 수건

낚시타올

낚시를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바닷물이 튀는 경우나, 손에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대비하여 낚시용 수건은 반드시 챙겨서 출조 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원투낚시 >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문용 원투장비 리스트 및 가격대  (0) 2023.03.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