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프(해변)에 도착하면 해변이 넓어 포인트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렵 습니다.

저도 초보때나 지금도 포인트 찾는 것이 가장 어려운 과제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포인트 선정법에 대하여 소개 드리겠습니다.

 

★TIP-1

1.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실제 조행기 포인트 정보를 확인

2. 카카오맵 또는 구글 맵으로 포인트 지형 확인

3. 카카오맵으로 출조지 근방의 해변 포인트와 이동 거리 확인

4. 물때, 바람, 일출, 일몰 시간 확인 

 

낚시물때 앱으로 물때 확인

 

★TIP-2

1. 최초 선택한 포인트에 도착하면 주차하기 전에 자동차로 주변 탐색하기

 

2. 바닷가에서 갈매기를 찾아보기(갈매기들이 저공 비행하거나 먹이 활동)

   ※ 자동차로 찾아보는게 쉽겠죠?

 

3. 갈매기가 없으면 주변 포인트로 이동해서 갈매기 유무 확인

   ※활성도가 떨어지는 시즌에 활용하면 꿀팁

바닷가 상공에 무리를 지어 있거나 무리로 먹이 활동 하는 곳이 포인트

 

 

4. 갈매기가 먹이 활동을 하거나 무리지어 상공에 있다는 것은 베이트 피쉬가 있다는 증거이고,

   이 베이트 피쉬를 노리는 상위 포식자(대상어)가 있다는 증거이며, 히트 확률이 높아 집니다.

시마노 TV에서 발췌

 

★TIP-3

1. 이동하면서 가능한 같은 싱킹미노우 또는 싱킹펜슬로 부채꼴로 지역탐색 (수심, 지형)

  ※ 물골 또는 브레이크 라인을 찾는 것이 중요!

  ※ 브레이크라인 집중 공략!!!

     : 해면 지형변화(수심 경사면)를 찾으면 집중 공략!!!

     : FLAT FISH(넙치=광어 등)이 있을 가능성 UP!!! 

 

2. 플로팅  미노우 또는 싱킹 미노우로 슬로우 리트리브로 폭 넓게 탐색하면 같은 리트리브 속도에서도 다른 저항감이 느껴지는 포인트를 찾습니다. 

  ※ 다른 저항감이 느껴지면 그 곳이 조류 흐름이 좋은 곳 입니다.

 

3. 본류대와 지류대의 중간 경계 지역을 집중 탐색

  ※ 이는 수중여 등의  영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좋은 포인가 됩니다.

  ※ 베이트피쉬를 노리는 상위 포식자들의 은신처가 됩니다.

 

4. 파도가 생성 되는 지역의 뒷쪽 집중 공략

 

5. 포말이 일어나는 주변을 집중 공략

  ※ 포말이 일어나는 곳은 용존 산소량이 높아지며 플랑크톤이 풍부합니다. 

      플랑크톤이 풍부하면 베이트피쉬가 모이고 이를 공략하는 대상어들이 모이게 됩니다.

10~20m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지형, 수심 탐색

★TIP-4

1. 주변 앵글러들의 조과를 확인

2. 전일(前日) 조과가 있었던 포인트를 재공략

   ※히트 확률 UP!!!

3. 보일링 포인트 확인 후 보일링 중심부가 아닌 보일링 끝단 쪽을 집중 공략

4.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수중에 베이트피쉬 유무 확인

5. 해변가의 베이트피쉬 사체 확인

6. 이안류 경계존을 집중 공략???

   ※ 이안류를 목격 한다면 피하세요...위험합니다.  

 

★TIP-5

가장 좋은 것은 상급자와 동출하여 포인트 선별법에 대해 직접 설명을 듣고 자신만의 선별법으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필자의 경우 일본 유튜브 정보를 토대로 포인트 선택법을 스터디하고 출조하여 수많은 꽝을 치고 몇군데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출조하는 타입입니다만, 자신만의 포인트 개척도 엄청난 희열을 줍니다.

 

오늘은 포인트 선별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봤습니다.

이상 농어바라기 HIRASUZUKI 였습니다.

어복충만 하시기를 기원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