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프루어게임의 광활한 필드에서 조류의 흐름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전 낚시기법에서 소개한 내용과 수심 체크 및 수심운용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고, 전편에 설명 드린 포인트 선별법+조류 변화 포인트+수심운용법을 활용하여 조과를 UP시킬 수 있습니다.

 

1. 조류 변화 포인트 탐색 방법

조류 탐색 방법 이미지

1) 싱킹펜슬을 활용하여 슬로우 리트리브로 포인트를 탐색하여 손끝으로 저항감이 느껴지는 지역을 찾아 보세요.

    싱킹펜슬(립이없는)은 가능한 가볍고 비거리가 많이 나오는 것을 활용하고 라인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탐색하면 조류의 흐름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상기 1)방법으로 탐색 후 플로팅 미노우(잠행수심 50~80cm)로 드리프트 기법을 활용하여 미노우를 흘리면서 라인의 텐션을 

   주고 슬로우 리트리브로 라인 회수를 하면 손끝에 다른 저항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조류가 활발한 지역에서의 드리프트 기법은 중급 이상의 고급 테크닉 입니다.

 

2. 조류 흐름이 좋은포인트에서의 공략법

 

베이트피쉬가 되는 치어, 멸치 등은 유영 능력이 대형 포식 어종보다 현저히 떨어집니다.

조류의 흐름이 좋은 곳을 통과하지 못하고 주변을 맴돌거나 회피하여 이동을 하므로 앵글러들의 대상어가 되는 광어, 농어 등이 베이트피쉬등을 몰라 먹이 호라동을 하는 포인트가 됩니다.

이 포인트를 집중 공략하면 조과UP!!!

 

※ 넙치(광어)는 비슷한 사이즈가 몇마리씩 군집하여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바이트를 받았던 포인트 주변을 폭넓게 공략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적색 화살표 지역으로 리트리브 시 다른 저항감이 느껴지면 그곳이 조류 흐름이 좋은 포인트 입니다.

조류 흐름이 좋은 곳의 주변(경계)을 집중 공략!!!

※조류 흐름 파악은 손끝의 느낌으로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많은 출조 경험과 필드에서의 감(感)을 느끼는 것외에는 별다른 Tip이 없습니다.

 

3. 수심 측정 방법

수심 측정 방법 이미지

일반적으로 서프루어게임의 주 대상어가 되는 넙치(광어)는 밑바닥에서 보호색을 띄고 베이트피쉬를 노리고 있습니다.

넙치(광어)는 서식층이 바닥층입니다.

넙치(광어)를 주대상어로 할 경우 싱킹미노우→싱킹펜슬→메탈지그 순서를 반복 또는 변경하며 바닥을 찍고 리트리브 액션으로 대상어에 어필을 합니다.

이때 캐스팅 → 착수(着水)시부터 바닥을 찍을때까지 카운트를 합니다.

카운트하여 바닥층부터 수심층으로 구분하여 루어를 운용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입니다.

 

4. 수심층별 운용

수심층별 운용 이미지

예를들어 착수부터 바닥을 찍을떄까지 3초가 걸렸다고 가정할 경우

1) 상층 : 착수 후 1초

2) 중층 : 착수 후 2초

3) 하층 : 착수 후 3초

※착수 후 카운트다운하여 상층~중층~바닥층까지 본인만의 Range를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그날의 패턴(Pattern)을

찾아 집중 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수심 운용기법 활용 및 장점

1) 대상어의 Pattern확인

    수심을 구분 운용하여 최초 Hit 받은 수심층과 액션, 미노우 컬러로 대상어의  Pattern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활용 공략하면 마릿수의 조과 확보 가능.

 

2) 서프루어, 쇼어지깅에서 유용한 운용법

 

3) 나이트 게임 시 농어의 Pattern 확인 가능

 

4) 밑걸림이 심한 구간을 공략 시 Risk를 줄일 수 있음

 

※ 수심을 알고 그 수심을 나만의 Range로 운용할 수 있다면 조과는 배가(倍加)됩니다.

   루어의 무게를 정하여 바닥을 찍을 때까지 카운트하여 리트리브 속도에 따른 수심 운용(싱킹미노우 활용)을 하는

   기법도 있느나, 이는 중급 이상으이 실력을 갖추고 많은 출조를 통한 경험치가 필요 합니다.

 

이상, 농어바라기 HIRASUZUKI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